침수 제로(ZERO) 도시 성동! 6년간 침수 피해 '0건' 기록

상습 침수지역에서 침수 제로 도시로! 재난대응력 강화로 2019년 이후 침수 피해 전무

메이저뉴스

news@majornews.co.kr | 2025-09-30 09:15:08

▲ ‘성동구 침수취약가구 돌봄대’ 안전직무 교육 모습
[메이저뉴스]서울 성동구가 2015년부터 침수 대응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온 결과, 2019년 이후 ‘침수 피해 0건(제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성동구는 한강, 중랑천, 청계천을 끼고 있어 서울 최대 수변도시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과거 상습 침수 피해를 겪어왔다.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264건의 침수 피해가 발생하여, 성수동, 용답동, 행당동 등 하천과 가까운 저지대 지역 주민들은 집중호우가 내릴 때마다 마음을 졸여야 했다.

이에 성동구는 2015년 민선 6기에 들어서면서 대대적인 침수 예방 대책에 돌입했다. 성동구 전 지역의 노후·불량 하수관로에 대한 전면 교체를 시작한 것이다. 기존에 좁고 오래된 하수관로를 대형 하수관로로 교체함으로써 물 빠짐을 원활하게 하여 근본적인 침수 대응력을 키웠다.

그동안 성동구는 2015년부터 10년간 노후·불량 하수관로 총 69㎞를 정비했으며, 현재도 3㎞에 대한 추가 교체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하수도 1,608km와 빗물받이 370,383개소에 대한 준설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신속한 하수 시설물 내 퇴적물 제거로 침수 피해 예방과 악취 개선에 앞장섰다.

또한, 2015년 송정, 사근빗물펌프장, 2019년 행당빗물펌프장 증설공사를 통해 배수 처리 능력을 향상시켜 방재 능력을 높였다. 최근 기후 위기 상황에 대비해 상향된 방재 성능 목표에 따라 금호빗물펌프장 시설용량 증대 사업을 올해 하반기 추진 예정이다.

그 결과, 2015년 이후 침수 피해는 9건(’17년 6건, ‘18년 3건)으로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하여 2019년 이후 최근 6년간 ’침수 피해 제로화‘라는 결실을 맺었다. 재난 예방을 위한 성동구의 지속적인 투자와 인프라 확충 노력이 빛을 발한 것이다.

그 밖에도 구는 지하주택 2,909가구에 물막이판 등 침수방지시설 설치를 지원했다. 과거 침수 피해 이력이 있는 가구 대상으로는 돌봄공무원 서비스를 제공해 침수 피해가 발생할 경우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유기적인 연락 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2024년부터는 반지하주택에 거주하는 안전 취약계층이 사전에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성동형 침구취약가구 돌봄대‘를 구성하여 확대 운영하고 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집중호우와 같은 자연재해는 불가피하더라도 사전에 준비하고 대응력을 키운다면 피해를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다”며, “지난 10년간 수방 대응력 강화로 침수 피해 제로를 달성했듯 앞으로도 선제적이고 철저한 재난 예방을 통해 ’안전도시 성동‘을 만들어가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