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의 삶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광주광역시다움 통합돌봄 우수사례 8편 선정
광주시, 공모전 시상식…대상에 일곡동행정복지센터·우리동네의원
한송희 기자
abchsh74@naver.com | 2025-11-18 15:45:40
[메이저뉴스]#1. 혼자서도 묵묵히 외로움을 견디던 할머니에게 치매가 찾아왔다. 할머니는 쌓여가는 잡동사니와 늘어가는 곰팡이 속에서도 한사코 도움을 거절했다. ‘광주다움 통합돌봄’은 그런 할머니에게 끈질긴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이웃들은 할머니를 설득해 할머니의 집을 청소하고 이불을 빨았다. 도배와 방역까지 마치자, 할머니의 삶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기억 속에 갇힌 치매 어르신께 가장 소중한 현실을 선물할게요’-북구 일곡동
#2. 갑자기 찾아온 뇌출혈은 할아버지를 침대에 가뒀다.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재활운동은커녕 돌아눕기도 어려웠고, 식사조차 비위관을 통해야 했다. ‘광주다움 통합돌봄’은 할아버지를 찾아가 방문맞춤운동을 진행했다. 할아버지는 꾸준한 운동을 통해 마침내 방 문턱을 넘어 세상을 걸을 수 있게 됐다.
‘의료에서 시작되는 다학제 통합돌봄’-광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우리동네의원
#3. 봄바람이 차갑던 날, 아픈 아내를 돌보던 어르신은 ‘본인의 위암 판정’이라는 시련을 맞았다. ‘광주다움 통합돌봄’은 ‘민폐 끼치기 싫다’는 어르신의 거절에도 꾸준히 안부를 물으며 식사를 챙겼다. ‘세상이 아직 당신을 기억합니다’라는 위로를 담아 어르신의 마음을 두드렸다.
‘현장에서 배운 삶의 마무리, 고종명의 시간’-남구 봉선2동
광주광역시는 18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광주다움 통합돌봄 2025 우수사례 공모전 시상식’을 열고, 통합돌봄 사례를 공유했다.
광주시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광주사회서비스원이 공동 주최한 이번 공모전은 ‘광주다움 통합돌봄’ 사례를 발굴·확산하고 돌봄에 대한 시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 공모전은 ‘광주다움 통합돌봄’의 본래 취지를 살려 돌봄시민을 끈기 있게 발굴하고, 시민이 본래 살던 곳에서 건강한 일상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한 사례 8편을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대상은 북구 일곡동행정복지센터의 ‘기억 속에 갇힌 치매 어르신께 가장 소중한 현실을 선물할게요’와 광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우리동네의원의 ‘의료에서 시작되는 다학제 통합돌봄’이 수상했다.
최우수상은 ▲남구 봉선2동 지연우 주무관 ‘돌봄 현장에서 배운 삶의 마무리, 고종명의 시간’ ▲동구 학동 김유석 주무관 ‘기쁨과 아쉬움을 뒤로 하고 한걸음씩 앞으로!’가 받았다.
우수상은 ▲북구 매곡동 이아름 주무관 ‘처음은 의무였지만 지금은 서로의 일상입니다’ ▲서구 화정3동 주은정 주무관 ‘나 때문에 불쾌하지요?’ ▲광주전남작업치료사협회 장보건 작업치료사 ‘추운 겨울은 가고 따뜻한 봄이 오다. 지금은 광주다움 통합돌봄’ ▲늘 행복 건강밥상 사회적협동조합 백순례 활동가 ‘오메 깜짝이야’ 사례가 수상했다.
이번 공모전에서 뽑힌 우수사례 8편은 ‘2025년 광주다움 통합돌봄 우수사례집’에 수록될 예정이다.
임애순 돌봄정책과장은 “돌봄은 이웃을 생각하고 서로를 걱정하는 사람의 마음에서 시작된다”며 “이번 공모전은 시민의 곁을 지킨 통합돌봄 실천가들의 노력을 공유하고 광주다움 통합돌봄의 가치와 성과를 시민과 나누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광주시가 2023년 4월 시행한 ‘광주다움 통합돌봄’은 전국 최초로 ‘누구나 돌봄’ 시스템을 구축해 현재까지 2만5000여 명의 시민을 지원했다.
‘광주다움 통합돌봄’은 정책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내년 3월부터 전국에서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전국 시행에 앞서 지난 8월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11월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통합돌봄 실행 사례 청취를 위해 광주를 방문했다.
[ⓒ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