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기 화성시갑 송옥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메이저뉴스]가락시장 거래액의 30%에 달하는 국산 농축산물을 매년 판매해 온 홈플러스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 화성시갑 송옥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최근 홈플러스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3월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해서 청산 위기를 맞고 있는 홈플러스의 오프라인 매출액은 4조9,990억원, 온라인 매출규모는 1조3,883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농산물 1조2,470억원, 축산·수산 1조2,693억원, 계란·낙농품·밀키트와 같은 신선가공식품은 5,537억원 등 농식품 매출액은 3조700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홈플러스의 국산 농축산물 매출액이 1조8,813억원으로, 그 해 가락시장 거래액 6조2,422억원의 30%에 이르고 있다. 이중 농협경제지주, 대구축협, 수협중앙회 등과의 거래액은 연간 3,000억원 정도이다.
홈플러스는 농·축협, 농업법인 등과 산지 직거래를 통해서 국산 농축산물을 조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청산될 경우 산지 농축산물 유통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송 의원은“홈플러스가 청산되면 이마트와 롯데마트가 상권 중복 등으로 인해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매장을 늘리는 일은 불가능하다”며,“결국 가락시장으로 물량이 집중되거나, 대도시 오프라인 소매유통시장의 독과점화를 부추겨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송 의원은 이에 따라“정부와 농협이 협력해서‘포스트 홈플러스’대책을 세워야 한다”면서“지역 농협들이 조합공동법인을 구성해서 해당 권역을 벗어나 국내 농축산물의 80%가량이 팔리는 수도권에 판매장을 자유로이 설립할 수 있도록 영업제한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정부가 지난달 유통대책을 내놓고 온라인 도·소매 유통 활성화, 산지 및 도매시장 유통·물류 비용 절감, 농산물 가격·유통 정보 제공 확대, 적정 재배면적 확보와 수급 관리 강화를 내세웠다”며“산지시장점유율은 60%에 달하는 반면 대도시 시장점유율은 13%에 머물러 있는 농협의 수도권 대도시 판매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선 지역농협들 역시 농협의 소비지 유통시장 확대를 바라고 있다.
송 의원이 지난달 24일부터 실시한 설문조사에 참여한 164개 회원농협의 상무 또는 전무들은 농협경제지주가 대도시 대형마트 사업을 확대하는 것과 관련해 매우 긍정적(34%)이거나, 긍정적(35%)이라고 답했다. 또 지역농협의 자유로운 대도시 판매장 설립을 허용하는 것에 대해 49%가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했고, 41%는 긍정적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홈플러스는 물류센터 7개소, 대형마트 123개소,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298개소, 홈플러스 몰 4,180곳을 기반으로 온라인 사업에 투자해서 연간 1.4조원에 이르는 전거상거래 실적을 거뒀다. 홈플러스 직원수는 2023년 기준 1만9,717명으로, 청산 때에는 정규직 일자리 1만8,026개가 사라져 국내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항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