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스포츠 온라인 암표 의심사례 5년 새 41배 폭증… 제재율 불과 5.9%

정치 / 메이저뉴스 / 2025-10-14 09:10:09
민형배 의원, “암표는 불평등 키우는 민생범죄, 신종 수법 차단할 제도적 장치 필요”
▲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광산을)

[메이저뉴스] 프로스포츠 온라인 암표 의심사례가 급증했으나 정부의 제재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광산을)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프로스포츠 온라인 암표 의심사례 건수가 2020년 6,237건에서 2025년 259,334건으로 늘어 5년 새 약 41배 폭증했다. 집계 시점이 8월 말인 점을 고려하면 연말 폭증세는 더 가팔라질 전망이다.

수치 급증의 배경에는 집계 방식 변화가 있다는 것이 문화체육관광부의 설명이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의 암표신고센터 모니터링은 2024년까지 수작업 중심이었으나, 2025년부터 자동화 툴을 보유한 외부 용역 도입으로 수집 건수가 대폭 늘었다는 것이다.

플랫폼별 온라인 암표 신고 현황을 살펴보면, 2025년 들어‘티켓베이’쏠림이 두드러졌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는 중고나라 신고가 가장 많았으나, 2025년 전체 신고 건수 32,013건 중 25,188건이‘티켓베이’로, 78.7%를 차지해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제재는 제자리걸음이다. 지난해 신고 21,442건 중 조치(예매 취소·경고)는 989건(4.6%), 올해는 32,013건 중 1,875건(5.9%)에 그쳤다. 협회는 좌석번호가 확인되는 게시물만 조치 대상에 포함돼, 좌석번호를 숨기는 경우 등에는 대응이 어렵다고 밝혔다.

법제도 상의 빈틈도 지적된다. 현행 국민체육진흥법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부정 판매’와 ‘구입가 초과 재판매’만 금지한다. 이에 개인 간 웃돈 거래나 트위터 등 SNS상의 신종 암표 거래에 대해서는 플랫폼별 조치 건수 등 체계적 파악과 제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자료를 분석한 민 의원은 “암표는 관람권을 가격 경쟁의 대상으로 전락시켜 불평등을 키우는 민생범죄”라며 "SNS 등을 통해 진화하는 신종 수법을 차단할 제도적 장치를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