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건물에너지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설명회(좌에서 다섯 번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덕우 수석, 여섯 번째 서울연구원 조가영 연구위원, 우에서 네 번째 SQI소프트 김두성 승무원 조가영 연구위원, 일곱 번 SQI소프트 김두성 상무) | 
[메이저뉴스]서울연구원은 10월 30일 오후 1시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시행에 대비한 '탄소중립 이행 지원을 위한 건물 에너지 데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설명회'를 개최했다.
본 설명회는 국가 R&D 과제인 ‘건물 에너지 소비 데이터넷(DataNet) 연구단’의 연구 성과에 대하여 대한건축학회 창립 80주년 기념대회의 학술 세션에서 진행됐으며 건물 에너지 데이터의 통합·분석·활용 방안을 공유했다.
이번 설명회에는 서울연구원 조가영 연구위원을 포함하여 '건물 에너지 소비 데이터넷(DataNet) 연구단' 소속 전문가들이 참여해 연구과제 성과를 발표했다.
서울연구원은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시행을 앞두고 지자체 데이터 기반 총량관리와 정책 지원 방향을 제안하며, 건물 데이터의 수집-정합-활용 전 과정에서 행정수요를 반영한 정책 연계 방안을 제시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파편화된 건물에너지 빅데이터의 통합관리 필요성과 연구개발 플랫폼의 확장성·상호운용성·정책 연계성을 강조했다.
이어서 연구성과로 건물 에너지 데이터를 표준화·연계해 통합 관리하는 I-BED(통합 건물 에너지 데이터) 플랫폼과, 이를 기반으로 건물에너지 데이터 및 각종 지표 결과를 시각화하는 딥뷰(DeepView) 플랫폼의 적용 방안을 지자체(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 · 시연하며 실무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참석한 지자체 탄소중립 업무 담당자들은 데이터 품질관리, 플랫폼 연계 등 정책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오균 서울연구원 원장은 “이번 설명회는 건물 에너지 데이터를 표준화·연계해 통합적으로 관리·활용하는 방법을 공유하는 자리”라며, “서울시를 비롯하여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자체의 총량 관리와 데이터 기반 탄소중립 도시 실현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