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부터 고려까지, 함안 불교문화의 정수 함안 의곡사지, 발굴조사 성과 공개

경상 / 메이저뉴스 / 2025-11-27 14:45:22
5년간의 발굴조사 종합 성과보고 및 현장공개회 개최
▲ 함안 의곡사지, 발굴조사 성과보고회 사진

[메이저뉴스] 함안군과 불교문화유산연구소는 지난 25일,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 동안 추진한 함안 의곡사지 발굴조사의 성과를 군민과 공유하고자 ‘함안 의곡사지 조사성과보고회 및 현장공개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오전 함안박물관에서 열린 성과보고회와 오후 의곡사지 발굴 현장 공개로 이어졌으며, 연차별 조사 결과를 종합해 지역민과 연구자에게 설명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성과보고회에서는 ▲함안 의곡사지 발굴조사 성과와 가람 구조 ▲의곡사 관련 문헌과 ‘의지승’ 용례 검토 ▲의곡사지 출토 불상의 특징과 의미 등 세 가지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의곡사지는 처음에는 사찰 명칭이 확인되지 않아 ‘강명리사지1’로 불렸으나, 2021년 1차 조사에서 ‘의곡사(義谷寺)’ 명문 기와편이 발견되면서 유적의 정체성이 명확해졌다.

이후 진행된 조사에서는 통일신라시대 탑지, 금당지, (추정)강당지, 이방형 건물지, 대형 석축, 기와가마 등 사찰 의 중심 구역이 차례로 확인되며 사찰의 규모와 위상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조사 과정에서 통일신라시대 불상 8구, 고려시대 청동소탑·철제종·청동풍탁 등 다양한 불교유물이 확인됐다.

특히 경주 왕경 유물과 유사한 치미편과 기와편, 고려시대 중창을 보여주는 ‘의지승 진기(依止僧 眞奇)’ 명문 기와는 의곡사지가 지역 불교문화의 중요한 중심지였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

조근제 군수는 “성과보고회와 현장공개회는 지역민과 학계가 함께 의곡사지의 가치를 확인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앞으로도 추가 조사와 연구를 지속해 의곡사지의 보존관리 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사적 지정도 적극 검토해 함안을 대표하는 핵심 역사문화자원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국가유산청이 기획재정부 복권기금의 지원을 받아 추진 중인 ‘중요 폐사지 시·발굴조사’ 사업의 하나로 국가유산청과 함안군, 불교문화유산연구소의 공동으로 협력해 진행하고 있다.

[ⓒ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