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
[메이저뉴스]전라남도는 5일 광양만권소재부품지식산업센터에서 ‘전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4차 회의를 열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추진 경과를 공유하며 지역 철강산업 위기 대응전략을 논의했다.
회의는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 주재로, 광양시, 순천시, 유관기관과 철강기업 등 협의체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전남도는 회의에서, 광양시는 국가 철강 생산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철강산업의 중추적 거점이지만,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중국산 저가 철강재 유입,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 등으로 중소 철강업체와 협력사들이 연쇄적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광양시 철강기업의 최근 2년간 생산은 9.4%, 수출은 19.3% 감소했으며, 지방소득세 부과·징수액도 같은 기간 76% 급감했다.
이에 전남도는 광양시가 ‘철강산업 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받도록 행정절차를 본격화하고, 실태조사·기업 의견 수렴·사업 발굴과 정책 건의 등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이번 위기를 단순한 경기침체가 아닌 산업 체질 전환의 기회로 삼겠다”며 “철강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 재정지원이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되도록 민·관이 협력해 국회와 정부에 지속해서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철강산업의 근본적 체질 개선을 위해 ‘광양만권 메가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저탄소 설비 전환·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스마트 제조체계 구축 등을 통해 광양만권을 ‘스마트에너지 기반 친환경 철강산업 클러스터’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국가기간산업 지원 특별법(K-스틸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 주도 구조조정·규제특례·전기요금 인하 등 지원정책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