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라남도 박경미의원 |
[메이저뉴스] 전라남도의회 경제관광문화위원회 부위원장 박경미(더불어민주당·광양4) 의원은 정부가 전남 광양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최종 지정한 데 대해 깊은 환영의 뜻을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0일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열고 광양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향후 2년간 국가 차원의 집중 지원을 추진한다고 공고했다.
이번 지정은 전남 여수(석유화학), 충남 서산(석유화학), 경북 포항(철강)에 이어 '지역산업위기대응법'에 따른 네 번째 사례다.
전남도와 광양시는 철강산업의 급격한 수익성 악화와 저가 수입재 증가, 철강 단가 하락, 내수 부진으로 지역 경제 전반이 심각하게 위축되고 있다며 지난달 1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특히 광양시는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를 철강산업에 의존하고 있어 산업 구조가 한 부문에 과도하게 집중된 취약성이 지적돼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지정은 지역경제 안정과 산업 기반 유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번 조치에 따라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정책금융 강화, 중소기업 만기연장·상환유예, 신보·기보 우대보증 프로그램 등 광범위한 지원 패키지를 즉시 가동한다.
또한 이차보전 확대와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 등도 순차적으로 제공해 기업의 자금 부담을 완화하고 구조적 경쟁력 개선까지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박경미 의원은 “광양 철강산업의 위기는 단순한 산업 문제를 넘어 지역경제 전체의 생존이 걸린 문제다”면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은 늦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결정이었으며, 이번 조치로 기업과 노동자들이 당면한 어려움이 실질적으로 완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제 중요한 것은 선언이 아니라 실행”이라며, “정부의 지원이 기업과 근로자들에게 즉각적으로 전달되도록, 도의회 차원에서 관련 부처 및 지자체와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박 의원은 “앞으로도 광양의 산업 기반이 흔들리지 않도록 필요한 제도 개선과 예산 확보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며, “광양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기회가 열린 만큼, 이번 지원이 단기적 처방에 그치지 않고 산업 다각화와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구조로 이어지도록 종합적인 중장기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재차 당부했다.
한편, 박경미 의원은 그동안 광양 산업위기 대응을 위해 ▲광양 철강산업의 급격한 수익성 악화와 지역경제 취약성을 상임위에서 거듭 강조, ▲광양만권 산업위기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기업 간담회 개최, ▲전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회의(4회) 등 꾸준한 노력을 이어왔다. 특히 전라남도 석유화학철강산업 위기대응 특별위원회 현지활동에서 광양 지역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현지실사에 참여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